
본 포스팅의 내용은 [깡샘의 코틀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작성자가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 작성한 글이므로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깡샘의 코틀린 프로그래밍]을 강력 추천합니다!! 코틀린이란? 코틀린은 인텔리제이로 유명한 젯브레인의 오프소스 그룹에서 개발하였다. 2016년에 발표되었고 안드로이드 개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2017년 5월에는 구글 I/O 행사에서 안드로이드의 공식 언어로 코틀린을 지정하였다. 코틀린의 특징 1. 자바, 안드로이드 100% 호환 코틀린을 알고나서 자바와 100% 언어 호환이 된다는 것이 가장 놀랐다. 코틀린으로 개발된 코드는 컴파일러에 의해 자바 클래스 파일로 빌드되어 자바의 실행환경인 JVM을 그대로 사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Kotlin을 새롭게 접하면서 Java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문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1 2 3 data class Member( ... ) class 앞에 static이나 접근제어자가 아니고 무슨 기능을 하는지 예상이 가지 않았다. 찾아보니 POJO(Plain Old Java Object) 클래스라고 불리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클래스를 쉽게 구현하기 위해서 코틀린에서 제공하는 간편한 문법이라고 한다. (POJO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좀 더 알아보았는데 말 그대로 해석하면 '오래된 방식의 간단한 자바 오브젝트'라는 뜻이다. 자바가 가지고 있는 객체 지향의 장점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POJO를 지향해야 한다고 한다.) 예로 들어 13개의 필드를 가지는 Member라는 클래스를 구현하기 위해 Java의 ..